■ 네트워크 분야에서 스위칭이란 ?
데이터 패킷내 포함된 주소 정보에 따라 해당 패킷을 정보에 맞는 출력 포트에 빠르게 접속 시키는 기능
( ▷ 쉽게 생각해서 정확한 주소에 맞게끔 편지를 배달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됨 )
■ 스위치 사용목적
- 스위치의 사용 목적은 허브( 네트워크 분배 장비) 와 유사하지만, 스위치는 훨씬 향상된 네트워크 속도를 제공합니다.
이는 각 컴퓨터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가 허브처럼 다른 모든 컴퓨터에 전송이 되는 것이 아니라,
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에게만 전송이 되기 때문이죠. 따라서 일반 허브장비(L1 장비) 처럼 병목 현상이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.
요약하면

구 분 | L2 장비 | L3 장비 | L4 장비 | L7 장비 |
기 능 | 데이터 전달 | 데이터 전달 | 데이터 전달 로드 밸런싱 |
데이터 전달 로드밸런싱 해킹 보안성 기능 |
전달 기준 (참조필드) |
Mac 주소 ( 스위칭) |
IP 주소 ( 라우팅 ) |
IP + Port 주소 ( 라우팅 ) |
어플리케이션 데이터 |
OSI 계층 | 2 Layer 데이터 링크 |
3 Layer 네트워크 계층 |
4 Layer 전송 계층 |
7 Layer 어플리케이션 계층 |
대표모델 | 일반적인 화웨이 스위치, 시스코, 주니퍼, 아리스타 스위치 | 시트릭스 / F5 / 시스코 / Alteon / 파이오링크 | ||
특징 | 패킷전달 | 라우팅 | 부하분산 | 보안성향상 |
네트워크 성능 |
낮음 | 보통 | 우수 | 우수 |
현장적용 | 각사무실 | 정보통신설비 백본망 |
서버실내 로드밸런서 |
서버실내 로드밸런서 |
설정 | 간단 | 보통 | 복잡 | 복잡 |
가격 | 비교적 저가 | 고가 | 고가 | 매우 고가 (4~5천) |
※ 상위 계층의 장비는 하위 계층의 장비의 모든 기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만, 통상 사용을 할때는 해당 장비의 고유 기능을 위주로 사용을 합니다.
※ 티피링크같은 허브는 L1 장비로 분류 됨.
※ 실습은 시스코가 만든 네트워크 가상 실습 프로그램 (윈도우 전용) 이 있으며, 스위치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토폴로지를 직접 구성해보는 형태로 되어 있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