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irtual_ip(단일 진입점)를 생성하여 각각의 파드에 고르게 접속시키기 위함.
Service definition

clusterIP : 사용자가 직접 정의해주지 않으면 k8s에서 임의 주소 지정
port : clusterIP의 포트번호
targetPort : 파드의 포트번호
Service Type

ClusterIP
- selector의 label이 동일한 파드들을 그룹으로 묶어 단일진입점(virtual ip) 생성
-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가능
- type생략시 default값으로 10.96.0.0/12 범위에서 ip할당.
ClusterIP example

NodePort
- 모든 노드를 대상으로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포트를 예약
- Default NodePort범위 : 30000 - 32767
- ClusterIP를 생성한 후 NodePort를 예약함
NodePort example

LoadBalancer
- Public클라우드에서 운영가능
- AWS / GCP에 로드밸런서를 구성하도록 요청해야함.
- NodePort를 예약 후 해당 노드포트로 외부 접근을 허용
LoadBalancer example

'Kubernete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onJob Controller (0) | 2022.01.11 |
---|---|
StatefulSet (0) | 2022.01.11 |
DaemonSet (0) | 2022.01.11 |
Deployment (0) | 2022.01.10 |
ReplicaSet (0) | 2022.01.10 |